[단독] 은행권, 지방 공동점포 운영·지점 프랜차이즈화 타진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은행聯+6대 시중은행 TF 발족
통폐합 경쟁에 지역주민 금융 소외
인구 적은 소도시부터 순차적 검토

시중은행이 지역 점포를 공동으로 운영하는 공동점포 사업을 추진한다. 인터넷·모바일 뱅킹 확대로 지점 통폐합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지방에서는 금융 인프라 부족에 대한 불만이 비등했기 때문이다. 일부 은행에서는 지점을 편의점처럼 운영하는 프랜차이즈화를 타진하고 나서는 등 은행 영업의 지각 변동이 예상된다.

전국은행연합회는 지난주 6대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은행)의 영업·디지털 전략 부서와 공동으로 ‘은행공동점포 시범운영검토 태스크포스(TF)’를 발족시켰다. 인구가 적은 지방 지점을 공동으로 운영하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서다.

그동안 은행은 수익성 개선을 위해 지점 통폐합에 속도를 내왔다. 그 결과 2015년말 4314개였던 은행 지점은 지난해 말 3546개로 17.8%나 감소했다. 하나은행이 934개에서 724개로 22.5%나 줄이며 가장 많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이어 우리(8.6%)·KB국민(7.6%)·NH농협(4.1%)·신한은행(2.6%) 순이었다. IBK기업은행만 618개에서 635개로 2.8% 늘어났다.

이처럼 은행 점포수 줄이기 경쟁이 붙자 정치권과 금융당국에서는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우려하며 자제를 촉구해왔다. 은행연합회가 TF를 구성한 것은 수익성 개선과 지역주민 반발 사이에서 접점을 찾기 위해서다. TF는 자동입출금기(ATM) 공동 운영 문제도 함께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권 관계자는 18일 “디지털화가 가속화되면서 은행 점포 축소 분위기가 사회적 문제가 됐다”며 “금융 인프라에서 소외된 중소규모 지역의 불만이 많다보니 해법을 찾기 위해 은행권이 자발적으로 TF를 만든 것”이라고 말했다.

신한은행의 경우 지난해 각 지점의 프랜차이즈화 작업을 시행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를 금융당국에 요구했다. 별정 우체국이나 새마을금고처럼 전산·보안 문제 등은 본점이 지원하되 지역 자체적으로 운영되는 지점을 도입하겠다는 취지다. 이 경우 지점장은 지점을 인수한 민간 지역 인사가 맡아 채용과 수익 배분 등 경영 일선에 나서게 된다. 쉽게 말해 편의점 프랜차이즈처럼 본사가 전산과 관리만 지원하는 방식이다. 은행은 지점 운영비용을 줄일 수 있고, 지점은 지역 일자리 확대와 경제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

신한은행은 지난해 진옥동 행장 지시로 내부 검토를 끝낸 뒤 당국과의 고위급 협의에서 이를 수용해줄 것을 건의했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은행 직원이 소도시에 발령받으면 가족이 함께 가는게 아니라 홀로 내려가 주말부부로 지내는 바람에 지역 경제에 기여도 하지 못하는 상황”이라며 “지점 운영을 지역주민에 맡길 경우 일자리 확대, 경제 활성화 등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은행도 지점을 폐쇄하지 않고 지역사회에 공헌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신한은행은 TF에서 이같은 운영방안도 제안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현대판 음서제’로 불린 별정 우체국의 세습을 정부가 금지한 것처럼 지역주민 사이에 불평등이나 특혜 시비 등이 불거지는 부작용이 생길 수도 있다. 당국도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부정적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권은 지난해 은행 지점 통폐합이 가속화하자 은행법 개정까지 거론하며 강경 대응에 나설 방침을 밝힌 바 있다. 은행연합회에서 합의안을 도출할 경우 정치권과 당국이 이를 수용할지 주목된다.

기자 프로필

안녕하세요. 국민일보 조민아입니다. ‘얻을 수 있는 최선의 진실’(the best obtainable version of the truth)을 쫓겠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